어느 조그만 산골로 들어가 Going into the glen. I want to be
나는 이름 없는 여인이 되고 싶소 A nameless woman. Let the vine of gourd
초가지붕에 박넝쿨 올리고 Creep up on thatched roof. Let stems of
삼밭엔 오이랑 호박을 놓고 Cucumber n squash tangle in the garden-bed
들장미로 울타리를 엮어 Hedged in wild roses around the porch.There
마당엔 하늘을 욕심껏 들여놓고 I’ll invite whole universe. Night to come
밤이면 실컷 별을 안고 I`ll embrace full of the stars in my arms
부엉이가 우는 밤도 내사 외롭지 Hooting of a lone night owl won`t bother
않겠소.기차가 지나가 버린 마을 My solitude. Hamlet left by chugging train
놋양푼의 수수엿을 녹여 먹으며 Passed thru, yummy taste of millet cake
내 좋은 사람과 밤이 늦도록 Warmed in brass pan. Chatting with sweet-
여우 나는 얘기를 하면 Heart till late night about skittish fox
삽살개는 달을 짖고 Lived in the valley. Poodle barks at moon.
나는 여왕보다 더 행복 하겠소 Behold’I`m the one happier than the queen
노천명(盧天命 1912-1957) 영문번역(변만식)
약한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이렸다. 코스모스의 청초함과 백합과 같은 외로움을 지니고 태어난 노천명. 세인들은 그녀를 한국 시 문학 중흥에 앞장섰던 여류시인 3총사(모윤숙,최정희)중 한명으로 기억한다. 고독을 사랑했던 그녀. “목이 길어 사슴인가/다리 길어 학이런가/상념은 가멸건만/몸은 여위어서/오기도 천명이요 가기도 천명인가-”국문학자 이희승이 그녀의 서거 일주기에 보낸 애도시 이다. 황해도 장연 출생. 이화여전 영문과 졸업. 해방 전 후 신문기자 생활 은퇴후 여러 시집을 간행하며 독신생활을 하다 45세에 사망. ‘사슴’은 그녀의 대표작이다.
<변만식 윤동주문학회>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