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인스 국가정보국장 “中, 美와의 충돌 우려…제로섬게임으로 인식”
▶ “北, 암호화폐 탈취로 핵무기 자금 조달…미국 안보에 위협”
중국이 대만을 침공해 대만의 반도체 수출이 중단되면 세계 경제가 연간 최대 1천300조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미국 정보수장이 밝혔다.
미국 정부내 16개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국가정보국(ODNI)의 애브릴 헤인스 국장은 4일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면 TSMC의 반도체 생산이 중단되면서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그 영향이 첫 몇 년 동안은 연간 6천억달러에서 1조달러(약 800조∼1천300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헤인스 국장은 "대만이 첨단 반도체의 90% 이상을 생산하는데 그 반도체는 전 세계의 거의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에 들어간다"며 "그 공백을 채우기까지 막대한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중국이 반도체를 구하지 못하면 중국 GDP에는 더 큰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3월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연설에서 미국을 이례적으로 공개 비난한 것을 두고 "아마 미국과 관계에 대한 중국 내 확산하는 비관론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관론이 커지는 이유에 대해 중국이 갈수록 미국과의 관계를 "제로섬 게임"으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궁극적으로 중국의 국력이 미국을 앞지르면서 양국이 충돌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이 미국의 국가 채무 불이행 우려를 이용하려고 하는 징후가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정보는 없지만 "중국이 (채무 불이행을) 기회로 활용하려고 할게 거의 확실하다"고 답했다.
그는 중국과 러시아가 경제·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그런 관계에 "한계"가 있다면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같은 동맹으로 발전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가 주장한 드론 공격을 통한 우크라이나의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암살 시도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개입을 부인한 것을 보셨을 텐데 현재로서는 우리가 이 사안을 독립적으로 평가할만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매우 낮다"(very unlikely)고 평가했다.
미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의 스콧 베리어 국장은 중국이 이미 미국보다 많은 고정식 및 이동식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대를 보유했고, 2035년까지 핵탄두 1천500개를 배치할 것이라는 미국 당국의 기존 평가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헤인스 국장은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냐는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 의원의 질문에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뿐 아니라 중요한 네트워크에 사이버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국가 안보에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답했다.
워런 의원은 불법 암호화폐 활동을 단속하는 법안을 발의할 예정으로 법안이 필요한 이유를 강조하고자 북한, 이란, 러시아 사례를 언급했다.
헤인스 국장은 수단 내전에 대해서는 정부와 반군 모두 군사적으로 승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협상할 유인이 많지 않다면서 내전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