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5세 이상 19%는 일해… 35년전 보다 2배 늘어
▶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 향후 노동인력의 절반

올해 미국에선 65세 이상 은퇴 고령자 5명 중 1명꼴로 소득 활동을 하고 있으며 평균 수입도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
미 전국의 고령 은퇴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고용 시장으로 되돌아 오고 있다. 올해 65세인 한인 김모씨도 그중 한 명이다. 김씨는 팬데믹이 한창이었던 지난 2020년 6월에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면서 은퇴를 선언했다가 직장을 구한 케이스다. 정보 기술과 관련된 직종에 다시 풀타임으로 일하기 시작한 김씨는 “항상 뭔가를 해온 터라 건강한데 집안에 않아 있는 게 죽을 맛”이라며 “일을 하러 집을 나서는 게 너무 큰 기쁨”이라고 했다. 일하는 기쁨도 그렇지만 수입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김씨는 “소셜연금 보다 일해서 버는 급여가 더 많다”며 “재취업으로 삶의 목적과 안정된 수입을 확보할 수 있게 돼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씨처럼 고령 은퇴자들이 재취업에 나서는 이들이 늘고 있다. 당장 내년부터 일자리를 찾아 다시 고용 시장에 나서겠다는 고령 은퇴자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레저메빌더가 62~85세 고령 은퇴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중 12%가 내년에 재취업에 나설 것이라고 응답했다.
스테이스 할러 레저메빌더 어드바이저는 “고령 은퇴자들이 재취업에 나서는 원동력은 재정적 이유인 것은 분명하다”며 “하지만 함께 일하는 동료애를 다시 느끼면서 일을 하는 삶을 그리워하는 것도 또 다른 이유”라고 진단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은퇴 시기에도 직장을 잡아 일하는 고령 임금 노동자들이 미국 고용 시장에서 떠오르는 고용층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15일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에서 65세 이상 고령 은퇴자 중 재취업을 해 직장을 갖고 있는 고령 임금 노동자들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미국 내 65세 이상 고령자 중 19%가 올해 직장에서 일하며 경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5년 전과 비교하면 2배나 늘어난 수치로 65세 고령층 5명 중 1명꼴에 해당한다.
65세 이상 고령 임금노동자들의 대부분은 풀타이머들이다. 65세 이상 고령 임금노동자의 62%가 풀타임으로, 1964년 당시 56%, 1987년의 47% 보다 크게 증가한 것이다.
노동 시간이 길다 보니 자연스레 고령 임금노동자의 임금 수준도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65세 고령 임금노동자의 시급은 평균 22달러를 받고 있어 지난 1987년 평균 13달러에 비해 2배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올랐다.
이 같은 고령 임금노동자의 임금 상승 속도는 25~64세 임금 노동자의 임금 상승에 비해 가팔라서 두 연령대 임금 차이는 불과 3달러에 불과할 정도로 크게 좁혀진 상황이다. 1987년 당시에 두 그룹 사이의 평균 시급 격차는 8달러에 달했다.
WP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 임금노동자들이 크게 늘어난 것은 의료 및 보건 분야의 발달로 건강 상태와 수명이 길어졌다는 신체적 이유뿐 아니라 인터넷과 통신 기술 진전으로 전통적인 출퇴근 개념에서 재택근무와 파트타임의 확산이라는 고용 시장 변화 이유도 있다.
여기에 소셜연금을 삭감없이 전액 받을 수 있는 연령을 65세에서 67세로 상향 조정한 것도 고령층의 취업을 끌어 올리는 또 다른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 증가와 함께 임금 수입도 늘면서 고령 취업자들은 주요 소비층으로도 부각되고 있다.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지난 2019년~2022년 사이에 65~74세 연령층 자산이 27%나 증가했고 75세 이상 연령층의 자산은 43%나 늘었다. 이는 미국 전체 연령층 자산 증가율 23%를 훨씬 상회하고 있는 수준이다. 따라서 65세 이상 고령층들은 고금리에도 주택 구매에 나서거나 크루즈 여행 등 소비에도 적극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65세 고령층이 향후 고용 시장에서 주요 취업 계층으로 자리잡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연방 노동통계국(BLS)은 향후 10년 내 65세 은퇴 고령층이 미국 전체 노동 인구 중 57%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남상욱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걱정마라...병원이나 양로원에 입원하면 간호원덜이 알아서 죽여준다...좋든 싫든 양로원가면 일년을 못 버틴다...미쿡 간호원 한명은 수백명을 인슐린 주사로 살해시켰다...흔적도 없어서 아무도 모르다가 이상한 병원에서
보소보소 틀딱들 아무말 대잔치 가라사대 보소. 나이는 숫자에 불과 설교자들 몽땅 틀딱들임 60 isn't the new 50. 70 isn't the new 80. 60 = 60. 50 = 50. 40 is 40, not 30. Get real!
그래서넌 잘살고있나 꼴갑떨지마 EBT 받는주제에
돈은 버는것보다 쓰길 잘써야 노후가 삶이 편안한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