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안아메리칸재단 조사 뉴욕 한인 등 아시안의 54% 공격·위협·모욕 등 피해 당해
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미국내 아시아계 대항 인종차별 및 증오범죄가 급증해온 가운데 여전히 대도시 지역의 한인 등 아시아계 주민들의 절반 이상이 인종혐오(Hateful Acts)를 직접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안아메리칸재단(AAF)이 지난 7일 발표한 ‘뉴욕시 안전성 연구’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뉴욕시 아시안의 54%가 지난 12개월간 ‘모욕’, ‘괴롭힘’, ‘위협’, ‘신체적 공격’등 각종 아시안 혐오를 직접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아시안에 대한 증오 행위를 목격했다는 답변도 무려 62%에 달했다. 특히 5명중 1명(21%)은 직접 신체적 공격 또는 폭행을 당했다고 답했고, 다른 아시안에 대한 신체적 공격 또는 폭행을 목격했다는 답변도 31%나 됐다.
하지만 절반이 넘는 아시안이 반아시안 ‘인종혐오’를 직접 경험했거나 목격했음에도 이에 대한 신고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경험자의 61%가 가족이나 친구에게 피해 상황을 알렸지만 정작 경찰에 신고한 경우는 이에 절반도 안 되는 29%에 불과했다. 커뮤니티 기관에 알린 경우도 겨우 20% 였다.
이처럼 신고가 적은 이유와 관련 AAF는 “사건 피해에 대한 자신의 대응에 의문이 생길 경우 내면화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신고로 해결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 경우 대부분 신고를 꺼리게 된다는 설명이다. 신고 장벽에 대한 질문에 42%는 주목받는 것이 꺼림직(Reluctance)해서, 29%는 신고 방법을 잘 몰라서, 20%는 신고가 부끄러워서, 7%는 언어장벽이 있어서 신고를 꺼리게 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AAF는 “순찰 등 경찰력 증원이 반아시안 증오 행위 근절의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며 ”아시안에 대한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관계 개선과 함께 아시안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아시안들이 가장 안전하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는 장소는 ‘대중교통’으로 절반 이상인 51%가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시스템을 꼽았다. 이어 로컬 마켓이 21%, 거주지역(동네) 21%, 직장 15%, 학교 13%, 정부건물 10%, 워십 장소 7%, 투표소 6% 순이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100% 미국인이 인종차별을 하는건 아니고요. 나약해 보이는 사람에게 공격을 가해 자존감을 얻어보려는 수준낮은 인간들이나 그러죠. 올바른 인격을 가진 사람들이 그러겠나요.자주 당하신다면 말로나 행동으로 대응할 방법을 준비해 두시는것은 어떨까요.
난 미국 25년 넘짓 살면서 한번도 인종차별 겪어보지 못하고 살다가 트럼프 정권때 차별을 3번이나 겪었다. 한번은 너희 나라로 가라는 말을 들었고 지나가는데 칭크라며 내 어깨를 툭 쳤었고 또 한번은 그로서리 파킹장에서 쫒아왔었다.
사실은 100% 인종차별이 있는데, 단지 본인이 느끼지 못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