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봄이 다가오기가 참 힘든 가 보다. 뉴욕지역엔 3월 들어 세 차례나 눈폭풍이 몰려왔고, 잠간 따뜻했던 햇살에 고개를 살짝 내밀려던 꽃망울들이 소스라치게 놀라며 다시 잔뜩 몸을 움츠리고 있다.
사람들은 봄철을 좋아한다. 죽은 듯 까칠했던 나무가지에서 움이 트고 여린 순을 내밀 때 세상은 온통 연초록색의 환상적인 세상으로 바뀐다. 아주 파랗지도, 그렇다고 노랗지도 않은 그 기막힌 연두색은 신이 내린, 자연만이 줄 수 있는 신비의 색이다. 수줍은 듯 가만가만 살포시 생명력을 지닌 채 만물이 소생하는 기운을 한껏 뿜어내는 모습에서 우리는 갈아 앉았던 마음이 설레고 소망을 느끼며 새 기운을 듬뿍 받는다.
몇 해 전, 벚꽃 피던 시절에 일본을 방문한 적이 있다. 요코하마에 갔을 때 마침 벚꽃이 만개하여 벚꽃 축제가 한창이었다.
개천 양편 뚝으로 끝없이 늘어선 수백 그루의 벚꽃나무 아래 사람들은 돗자리를 깔고 작은 술상을 차려 놓고 안주와 함께 봄을 만끽하고 있었다. 개천은 물 위로 떨어진 벚꽃 잎들로 눈부신 분홍색 물길이 되어 꿈결같이 유유히 흐르고 나무가지엔 가지각색 모양의 예쁜 오색 등이 매달려 있어 한껏 분위기를 돋우고 있었다.
화사한 봄날에 사람들은 소박하지만 아주 낭만적으로 즐기는 모습이다. 한 나이 지긋한 할아버지가 일본 악기인 샤미센을 켜며 흥겹게 옛노래가락인 듯 싶은 일본 전통가요를 연신 부르고, 주위 사람들은 거기 맞추어 따라 부르거나 박수로 혹은 젓가락으로 열심히 가락을 두드린다.
신이 난 할아버지는 더욱 목청을 돋우어 노래하면서 우수꽝스런 몸짓으로 사람들을 웃기고 신바람나게 만들고 있었다. 구운 오징어, 찐 옥수수, 가락국수, 오뎅, 소세지등 노점상들이 줄줄이 펼쳐 놓은 먹거리들을 들여다 보며 열심히 고르는 이들 역시 마냥 즐겁기만하다.
뭘 먹을까, 어떤 게 맛있을까 하는 고민은 얼마든지 해도 좋다는 듯 고르기를 지연시키고 있다. 그 정경은 내가 본 어느 장면보다 정겹고 소탈하고 행복해 보였다. 행복한 순간의 사람들의 표정은 바로 이런 거구나 싶은 얼굴들이다.
이처럼 봄이 줄 수 있는 자연의 선물을 사람들은 각 곳에서 여러가지 모양으로 즐기고 있는 것이다.
기나 긴 겨울, 매서운 추위를 웅크리며 견딜 수 있음은 봄은 꼭 온다는 희망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비록 우리 주위에서 벌어지는 불행한 일들..... 어처구니 없는 총기사건들, 또 한 사람의 한국 전직 대통령의 구속사태, 미투운동의 확산, 요새는 좀 희망적인 양상이지만 언제 또 어떻게 급변할지 모르는 한반도의 정세 등, 심리적으로 긴장되고 때로는 분노케 하는 힘든 나날이지만 좀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해 보는 마음으로 이 봄을 맞이하련다.
앞으로 좋게 진전하려면 그만한 대가와 진통을 치러야 함이 세상 이치이거늘 고난과 시련을 잘 견디고 옳은 방향으로 자리를 잡아가노라면 봄은 반드시 우리 곁을 찾아 올 것이라는 신념의 끈을 꼭 잡고 이 봄을 기다린다.
<
홍성애/ 뉴욕주 법정통역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