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성 접근 금전 등 사취
▶ 피해액 13억 달러 달해…가주 피해자·액수 최다
미국에서 온라인 기반의 데이팅 앱이 활성화하면서 이성에게 접근해 환심을 산 뒤 금전을 사취하는 ‘로맨스 스캠’(romance scam)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18일 WGN방송은 인터넷 정보업체 ‘소셜 캣피쉬’의 최신 자료를 인용, 지난해 미국에서 발생한 로맨스 스캠의 피해액 규모가 총 13억 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2021년 5억4,700만 달러보다 138% 증가한 수치이며, 2018년 1억4,500만 달러와 비교하면 9배나 늘었다. 피해자 수는 약 7만 명에 달한다.
소셜 캣피쉬는 연방수사국(FBI)·연방거래위원회(FTC) 데이터를 취합·분석했다고 밝혔다. ‘캣피쉬’는 남을 속일 목적으로 자신의 정체를 꾸미는 사람을 뜻한다. 이 업체는 “정부 당국이 주의를 당부하고 데이팅 앱 사기를 다룬 다큐멘터리가 방영돼 관심을 모았음에도 불구하고 로맨스 사기 규모는 전례 없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주별 로맨스 스캠 피해 규모를 보면 캘리포니아주가 피해자 2,189명·피해액 총 1억5,810만 달러)로 최다였다. 1인당 평균 피해액 규모로 캘리포니아주가 7만2,239달러로 가장 컸다.
이어 2위 텍사스(1,331명·6,030만 달러), 3위 플로리다(1,474명·5,340만 달러), 4위 뉴욕(823명·3,350만 달러), 5위 애리조나(680명·2,540만 달러), 6위 버지니아(552명·2,480만 달러), 7위 워싱턴(478명·2,110만 달러), 8위 오하이오(502명·2,40만 달러), 9위 노스캐롤라이나(422명·1,800만 달러), 10위 일리노이(506명·1,770만 달러) 순이다. 50위는 버몬트로 피해자 총 28명, 피해 총액은 37만3,468달러였다.
로맨스 스캠에 가장 많이 사용된 금전 지급 방식은 상품권(24%)이었고 그외 암호화폐(19%), 지불 앱(15%), 계좌이체(14%) 등이었다. 피해 규모가 가장 컸던 지불 수단은 암호화폐(34%), 그 다음이 계좌이체(27%)였다.
로맨스 스캠에 가장 흔히 사용된 거짓말은 “내가 (또는 가족이) 아프다·다쳤다·수감됐다”(24%), “투자 방법을 알려주겠다”(18%), “해외에 파병된 군인이다”(18%), “중요한 물건을 옮기는데 도움이 필요하다”(18%), “결혼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싶다”(12%)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방검찰 뉴욕 남부지검은 지난 14일 플로리다 여성 피치스 스터고(36)가 온라인 데이팅 사이트에서 만난 80대 남성으로부터 총 283만 달러를 사취한 혐의를 인정했다고 발표했다.
검찰은 스터고가 2017년 데이팅 웹사이트에서 교제 상대를 찾고 있던 유대계 남성(87)에게 접근, ‘급전이 필요하다’며 돈을 꾸기 시작했고 피해 남성은 스터고에게 총 62장의 개인수표를 발행했다며 “스터고는 이 돈으로 고급 주택 및 명품을 구매하고 리츠칼튼호텔에서 휴가를 보내는 등 호화생활을 누렸다”고 밝혔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