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미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강경 모드로 급선회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7일 직접 나서서 북한이 비핵화를 할 경우 체제를 보장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리비아처럼 체제가 전복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옌스 스톨텐베르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의 방문을 받은 자리에서 “리비아 모델은 우리가 북한에 대해서 생각하는 모델이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만약 (비핵화)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그(리비아) 모델이 발생할 것”이라며 미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합의가 도출되지 않을 경우 김정은이 리비아의 카다피처럼 축출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고 USA투데이가 보도했다.
리비아식 해법은 ‘선 폐기-후 보상’을 핵심으로 하는 일괄타결 방안의 대표적 사례이자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선호하는 방식이다.
리비아 카다피 정권은 핵 폐기를 마무리하고 미국으로부터 제재 해제와 경제 지원을 받는 데까지는 성공했지만, 결과적으로 독재자 카다피가 미국이 지원한 반군에 의해 권력에서 축출되고 끝내는 사살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미북정상회담 개최 여부와 관련해선 “북측한테서 들은 게 없고 아무것도 달라진 것도 없다”면서 “그 회담이 열린다면 열리는 것이고, 열리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것”이라고도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이 김정은에게 안전 보장을 제공할 것이냐’는 질문에 “나는 기꺼이 많이 제공하고자 한다. 그는 보호받을 것이며,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합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김정은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에 합의할 경우에만 북한 정권의 체제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공언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북한이 16∼17일 양일간 비핵화 방식 등에 강하게 반발하며 남북 고위급회담을 일방적으로 연기하고 미북정상회담 무산 가능성까지 암시하자 직접 김정은 달래기에 나서면서 동시에 경고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7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전쟁광 미치광이들 전쟁을 어린애 소꿉장난으로 아네
그리고 동북아 헥전쟁으로 3차대전으로 가지는게야
그렇지 김정은이죽고 북한작살나고 남한도 몇백만죽고...
김정은 뚱뙈이, 떨고 있어라. 니 죽는다.
김정은하고 회담 한다는 자체가 코미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