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 추진 9년6개월만에 첫 위성 발사…당초 계획보단 3년 지연
▶ 국내 기관·업체 참여해 위성 개발…5기 운영 시 2시간마다 한반도 관찰

(서울=연합뉴스) 캘리포니아 소재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 군 첫 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하고 발사 대기 중인 미국 스페이스Ⅹ사의 우주발사체 ‘팰컨9’. 2023.12.1 [스페이스X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가 2일(이하 한국시간) 새벽 궤도에 오르며 군사정찰위성 확보 사업(425 사업)이 드디어 첫 열매를 맺었다.
군 당국은 이번 위성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총 5대의 정찰위성을 확보해 전력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군은 2010년대 초반부터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군사 정찰위성을 획득하고자 약 1조2천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425 사업을 추진해왔다.
북한의 핵 시설과 미사일 기지 등 핵심 표적을 독자적으로 감시하며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방위사업청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도로 고성능 영상레이더(SAR) 탑재 위성 4기와 전자광학(EO)·적외선(IR) 탑재 위성 1기 등 총 5기의 정찰위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425'라는 사업 명칭도 SAR(사)·EO(이오)를 이어 발음해 붙여졌다.
사업 추진은 2014년 6월 열린 제8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확정됐는데, 이로부터 첫 위성 발사까지 10년 가까이 걸렸다.
당초엔 2020년 첫 위성을 발사한다는 목표였으나 3년쯤 늦어졌다. 예산 당국과 국회 심의과정에서 예산이 삭감되고, 운영 주체를 놓고도 국정원과 군이 이견을 보이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기 때문이다.
이날 발사된 1호기는 EO·IR 위성으로 시험운용기간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 본격적인 정찰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시광선을 활용해 지상을 직접 촬영하는 방식이어서 해상도는 높지만 구름이 끼면 감시가 제한된다.
나머지 4기의 정찰위성은 모두 SAR 위성으로 2025년까지 순차적으로 발사된다.
전자파를 지상 목표물에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데이터를 합성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이어서 날씨와 관계없이 북한의 동향을 면밀히 관측할 수 있다.
5기가 모두 가동되면 약 2시간 간격으로 한반도를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 개발에는 국내 기관들이 참여했다. 1호 위성 제작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ADD,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등이 함께했다. 위성에서 정찰·통신 등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은 항우연이, IR 관련 부분은 ADD가 맡았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는 보안시스템을 만들었다.
추후 발사될 SAR 위성 4기의 개발에도 국내 기업·기관이 참여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