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한국 약차의 역사를 펼쳐보면 약차는 중국의 당나라와 문물교류가 활발했던 시기에 중국으로부터 차도가 자연스럽게 들어오게 된 것으로 보여지는데<삼국사기>에는 신라의 흥덕왕 3년 겨울에 당나라에 사절로 갔던 김대렴이 귀국하는 길에 차나무 종자를 가져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오늘 우리가 마시는 차가 동양적인 한 범절로 승화되기는 당나라의 육우애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육우가 차의품질, 종류, 치새 등을 내용으로 한 차경을 저술하게 됨으로서 차생활의 급속한 발달을 가져오게 돠었다고 한다.
이렇게 전해진 차생활은 시대를 흘러오면서 민족정신의 원력을 회복시켜 주었으며 인간다운 차생활을 잃지 않고 누릴수 있는 생활의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선인들이 남겨놓은 한차원을 넘어 건강을 위한 보귀한 것으로서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도 큰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아래에 우리가 흔히 마시는 약차 몇가지를 소개하기로 하자.
1. 생강차
차의 재료는 생강뿌리이다. 품종에는 소생강, 중생강등이 있는데 차 재료로는 어느것이나 다 좋다. 신선한 것으로 골라 흟속에 묻어두고 쓰면 된다.
생강차는 위를 보호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오래 마시면 정력을 돕고 이질, 하혈,등에 효과가 더욱 좋다. 하혈이 심하거나 마른 구역질이 날 때 생강10g쯤을 그대로 씹어먹으면 묘하게 그친다. 한방에서는 건위, 복통, 냉통,해소, 진통, 더위병에 쓰인다.특히 생강차는 비위의 기능이 약하고 체질이 냉한 소음인에게 좋다.
* 제법과 음법
(1) 먼저 생강을 물에 깨끗이 씻어 겉껍질을 긁어버리고 칼로 납작하게 썬다. 생강이 없을 때에는 말린 생강을 대신 써도 좋으나 생강보다는 그 맛이나 효력이 떨어진다.
(2) 차 분량은 1일10~15g을 물 500cc에 넣고 뭉근한 불에 천천히 달여 하루에2~3회 마신다 .양이 많으면 좋지않다.
(3) 생강차는 매운 자극이 강하므로 설탕이나 벌꿀을 1~2스푼씩 타서 마시는 것이 좋다. 대추3~5개 정도를 넣고 달이면 더욱 효과가 좋다.
2. 쌍화탕
요지음 쌍화탕을 누구나 흔히 마시고 있지만, 원래는 남녀가 성교한 후에 몸의 피로를 풀기위해 마셔온 것이다. 쌍이란 한쌍의 남녀를 뜻하며 화란 몸을 푼다는 의미이다. 심신이 피로했을 때나 병후에 허약하여 식은 땀이 날 때 마시면 좋다.
그러나 쌍화탕은 본시 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생강, 대추, 감초, 계피, 등 아흡가지 생약재로 처방된 약이다. 따라서 복용할 때 주의 하지 않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쌍화탕의 약재인 계피는 열이 많을 때 복용하면 더욱 열을 높여 두통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위나 장이 허약하여 흡수력이 좋지 못한 사람에게는 숙지횡이 더욱 소화를 더디게 하기 때문이다. 즉 열이 있고 위가 약한 사람이 쌍화탕을 잘못 복용하게 되면 소화불양이나 설사, 혹은 열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쌍화탕 한첩이 한법에 복용할 분양인데 이를 여러차례 나누어 마신다면 약으로서의 생명력을 잃게된다. 그리고 한꺼번에 많이 마시는 것도 좋지 못하다.
* 제법과음법
(1) 약으로 복용할 때에는 처방된약 1첩을 2홉의 물에 넣고 뭉근한 불에 약 반량으로 졸려 공복에 마신다. 1일2첩을 복용한다.
(2) 쌍화탕차는 몸이 피로할 때 마시는 것이 좋다. 탕차로 마실 때 물 2큽반에 넣고 약 반량으로 달여 하루 3회 마신다. 벌꿀2~3스푼씨 타서 하루에 한첩 달여서 마이면 좋다.
(3) 쌍화탕차는 몸이 피로 할 때 마시는 것이 좋다. 탕차로 마실 때 물 2큽반에 넣고야 반량으로 달여 하루 3회 마신다. 벌꿀2~3스푼씩 타서 마신다. 하루에 한첩 달여서 마이면 좋다.
3. 오미자차
오미자에는 특이한 향기가 있고 약간 신맛이 난다. 맛은 좀 단만이 있고 시고, 쓰고 맵고, 짠맛 등 다섯 가지 맛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오미자차는 옛부터 정력의 강장차로 전해오고 있다. 오래 마시면 그 효과를 알수 있다. 페기를 보하고 기침에 좋은 차로 알려져 있으며, 목소리가 가라앉는데 마시면 효험이 있다. 특히 태음인에게 좋은 약차이다. 한방에서는 주로 거담, 진해약으로 쓰인다.
* 제법과 음법
(1) 차의 재료는 오미자 열매이다. 가을에 잘 익은 것을 취재 하여 햇볓에 말리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잘 말려서 종이 봉지에 넣어 습기없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매달아 두고 쓴다. 건재약방에서 구입할수 있다. 오미자 열매에는 곰팡이가 잘 생기므로 간수했다 쓸 때에 잘 살펴 보아야 한다.
(2) 차분량은 1일10~15g을 물 500cc (약2큽반)에 넣고 뭉근한 불에 달여 하루에 2~3회 마신다.
4. 구기자차
구기자는 열매를 많이 쓴다. 옛날부터 강장강정제로 혈압도 정상으로 유지 시킨다고 한다. 하기에 옛날부터 신체가 허약한 사람에게 구기자차를 마이게 하였다. 시력도 좋아지고 노안이 밝아 진다고도 기재되었다. 특히 신장이 약하고 정력이 부족하고 하체가 약한 소양인이 쓰면 좋다.
* 제법과 음법
1일분량은 20~50g을 500cc 물에 넣고 달려 하루에 2~3회 복용한다. 마일 때 설탕을 넣지 말고 벌꿀 1스푼씩 타서 마시면 더욱 좋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