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이 되면 생리 의학을 필두로 물리학, 화학, 문학, 평화, 경제학, 여섯 분야의 노벨상(The Nobel Prize) 수상자가 발표되기 시작한다. 마치 지구촌 안에 있는 인류의 일 년의 삶을 결산이나 하듯이 말이다.
노벨상은 스웨덴 출생의 다이너마이트 발명가인 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의 유언으로 태동되었다. 1833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태어난 노벨은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가 재기(再起)를 위해 러시아로 이민을 가는 바람에 일찍이 조국을 떠나 러시아,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를 전전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하며 과학자의 길을 걸었다.
노벨이 거부가 된 것은 우연이었다. 1866년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광산용 폭탄을 연구하다가 우연히 다이너마이트의 발명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그를 거부로 만들었다. 그가 만든 다이너마이트는 19세기의 대 토목사업 중 하나인 수에즈 운하를 위시하여 각국의 철도 건설과 항만, 다리, 도로 공사에 이용되었고, 그는 곧 세계적 유명인사가 되었다.
결혼을 하지 않았던 노벨은 1896년 12월 10일에 사망하면서 전 재산 3,100만 스웨덴 크로네(당시 달러 가치로 약 900만 달러에 해당하는 거액)를 노벨상 기금으로 남겼다.
그가 번 전 재산을 노벨상 기금으로 남긴 동기는 사랑하는 동생 루드비그의 죽음 때문이었다. 그의 동생이 프랑스에서 갑자기 사망했을 때 신문에 “죽음을 팔아 돈을 번 거부, 알프래드 노벨 프랑스에서 죽다.”라는 오보(誤報)가 나갔다. 아침에 일어나 기사를 본 노벨은 큰 충격을 받았고, 돈 버는 일에만 열심이었던 자신의 삶을 깊이 성찰하였다. 이 일 후에 그는 곧 노벨상을 제정하였다.
그가 남긴 유언은 “내가 남긴 재산 전 재산을 현금화하여 노벨상 기금을 조성 할 것이며, 이 기금의 운영에서 나오는 이자를 가지고 매 해마다 인류에게 최대의 혜택을 제공한 인물에게 다섯 개 분야의 상을 나누어 주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노벨의 유언과 관계가 없었던 경제학상은 스웨덴 국립은행 창립 300주년 기념으로 1969년에 새로 추가되었다.
매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가 있을 때마다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이 있다. 유대인의 높은 노벨상 점유율이다. 지금까지 107회의 노벨상이 집행 되었는데 유대인은 그중 약 22%-25%를 차지하고 있다. 유대인의 세계 전체 인구 비율이 0.2% 밖에 안 되는 소수민족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이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더 놀라운 것이 있다. 그들이 가져간 노벨상 중 75%이상이 물리, 화학, 생리 의학과 같은 기초과학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유대인 물리학(Jewish physics)"라는 별명까지 나왔다. 유대인의 세계화 전략이 기초 과학에서 나온다는 것은 노벨상 수상을 꿈꾸는 우리나라 지식인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중요한 사실이다.
세계인구 중 0.2% 밖에 안 되는 소수민족 유대인이 노벨상을 22%이상 차지하는 힘이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첫째, 모든 역경과 시련을 이기게 만든 신앙의 힘이다. 둘째 미지의 세계를 파헤치는 지적 탐구의 힘이다. 셋째, 유대인 교수와 유대인 학생과의 끈끈한 유대관계다.
실례를 들어보자. 지금 미국의 아이비리그의 유대인 교수 비율은 35%이고 유대인 학생은 25%이다. 그러므로 노벨상 수상 경험이 있는 유대인 교수들은 자연히 유대인 학생들을 자신의 제자로 삼아 그들을 새로운 지식의 세계로 이끌어 주고 신앙의 멘토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서 부터 우리는 뒤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젊은 엘리트들도 대학이나 연구 기관의 노벨상 수상자의 제자로 들어가 그 밑에서 겸손하게 배우는 도제 정신(徒弟 精神)이 정착되어야 한다.
노벨상은 노벨상 위원회가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개척자들을 10년 이상 세밀히 관찰한 후에 결정한다. 교과서에 나오는 공식만 외우는 암기식 공부만 가지고는 노벨상은 어림도 없다. 지금까지 축적된 지식의 한계와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분야를 적어도 10년 이상 끈질기게 파고들어 연구한 업적이 있어야 노벨상 수상이 가능하다.
노벨상을 꿈꾸는 한국의 젊은 엘리트에게 고한다. 유대인처럼 신앙과 기초 인문학을 귀중히 여기라. 10년의 법칙을 존중하고 인류 봉사의 사명을 지녀라. 이와 같은 순수한 열정만 보완된다면 노벨상의 길은 멀지 않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