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된 비행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퍼지기 쉬운 곳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생각보다 안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CNN 방송은 20일 “일부 전문가는 기내에서 코로나19가 전파된 사례가 극히 적다고 지적한다”면서 “사실 기내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될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도했다.
실제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 의학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이 ‘미국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을 보면 지난 3월 9일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향한 비행기에 확진자 7명이 타고 있었지만, 이들과 접촉한 다른 탑승객 71명 가운데 전염됐다고 추정되는 사람은 2명에 그쳤다.
비행시간은 4시간 40분이었으며 애초 확진자들은 비행 이후 양성판정을 받았기 때문에 비행 당시에는 마스크 등 어떤 개인방역장비도 착용하지 않고 있었다.
지난 3월31일 미국에서 대만으로 가는 비행기에 코로나19 증상을 보이는 승객 12명이 탔지만 다른 승객과 승무원 328명에게 전혀 전파되지 않은 사례도 있었다.
CNN은 “지난 3월 2일 영국에서 베트남으로 가는 비행기에서 승객 1명이 14명의 승객과 승무원에게 코로나19를 전파한 것이 현재까지 유일한 ‘기내 집단전파’ 사례로 보인다”고 전했다.
비행기 내 코로나19 전파율이 낮은 이유로 2∼3분마다 환기가 이뤄지는 점과 비행기 공기필터가 각종 입자를 99% 잡아내는 점 등이 꼽힌다.
괴테대 연구진은 “기내 공기가 천장에서 바닥으로, 앞에서 뒤로 흐르는 점이 코로나19 전파율을 낮춘 요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운데 좌석 비워두기’ 전략이 유효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MIT 통계학과 아널드 바넷 교수는 복도를 사이에 두고 양편에 3열씩 좌석이 있는 에어버스 320 같은 비행기에 승객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앉아있는 상황이라면 짧은 비행 시 코로나19에 감염될 확률을 4,300분의 1로 계산했다. 같은 조건에서 중간좌석을 비우면 감염확률은 7,700분의 1로 떨어졌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cnn 요즘 왜그래? 논조가 살짝 변했네. 흐름을 파악했나? 스파이게이트로 편집장등 고위층이 난간에 섰나? 좀 늦은감이 있지 않아?
그런데도 aa 등 대다수 미국 항공사는 꽉 채워 운행한다지.. 무식한 것들
코비드 터지기 전과 중간에 그리고 얼마 전에도 비행기 타고 감염 높은 지역으로 다녔었다. 감염은 누구나 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도 안늦었으니 지금부터라도 건강관리 잘 하시길. 감기, 독감, 코비드, 그 외에도 병들이 너무 많다. 예방접종 후에도 아플 확률이 높다는 것을 다들 알것이다.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사시게들. 그리고 be ready to meet your Maker before you pass away. 현명한 사람은 죽음을 준비한다.
그래서 어쩌라고 비행기타고 여행가라는 말인가? 고만해라 항공시대는 이미 끝났으니